Input/출시&마케팅

[펌]돈 안쓰는 마케팅(1)

우짜짜™ 2020. 5. 14. 19:47
반응형

출처: https://m.blog.naver.com/all_about_game/221527555463 [by 올어바웃게임]

 

유입의 구분: 자연 유입>검색 유입

앱 유입은 크게는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자연 유입 vs 광고 유입

광고 유입은 크게는 광고 비용을 지불해서 들어오는 유입을 말한다.

하지만 광고를 지불을 하더라도 매체별 트래킹이 가능한 경우도 있고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그렇다면 여기에서 우선 정의를 내리는 것은 광고 유입 중에서도 트래킹 가능한 유입을 말하고자 한다.

그리고 자연 유입은 광고 트래킹이 불가능한 방법이다.

그리고 자연 유입은 다시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검색 유입 vs 마켓 노출 유입

결국 자연 유입을 늘리는 방법은 이 두 가지를 개별적으로 상승시켜야 한다.

우선 이 두 가지 자연 유입의 정의를 다시 한번 살피 보도록 하자.

검색 유입: 구글 플레이에서 검색을 통해서 들어온 유입이다.

살펴보기 유입: 검색 결과를 제외한 Google Play에서 앱을 발견한 순 사용자 수입니다(예: 카테고리 또는 비슷한 앱 카드 탐색).

이러한 유입은 구글 개발자 콘솔>사용자 획득>획득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검색 유입 최적화 방법

구글 플레이에서 특정 키워드로 검색했을 때 상위로 노출되게 되면 더 다운로드가 잘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키우기'로 검색을 하게 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검색이 나오게 된다. 결국 상위에 노출된 <드릴 키우기>, <거지 키우기 2>는 자연스럽게 자연 유입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어떤 키워드를 선택할 것인가?

어떤 키워드가 더 많은 검색량을 가질 것인가? 그리고 어떤 키워드의 난이도가 낮을 것인가?

직접 알 수 있는 방법은 알 수 없으나 외부 툴을 이용하면 된다. <앱애니>나 <센서 타워>를 사용하면 이러한 값을 알 수 있다. 현재 <앱애니>는 유료 기능이라서 일반 사용자는 이용이 쉽지 않다. 하지만 <센서타워>의 경우에는 무료로도 특정 키워드의 트래픽량을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센서타워>에서 키워드 리서치 기능을 통해서 '키우기' 키워드의 수치는 아래와 같다.

여기에서 traffic의 수치가 높으면 더 검색량이 많다는 것이고, difficulty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어렵다는 뜻이다.

결국은 traffic의 숫자가 높으면서 difficulty가 낮은 키워드를 찾으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서 더 고민해야 할 것은 이 키워드가 게임과 관련되어야 한다.

트래픽이 많지만 관련성이 없는 키워드는 들어와 봤자 나갈 것이기 때문에 무의미하다.

키워드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키워드를 선정했으면 그다음은 그 키워드를 적용시키는 것을 고민해야 한다.

마켓에서 검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게임 등록된 정보이다. 정확한 내부 알고리즘을 알 수는 없으나, 구글은 이 등록된 정보를 기준으로 검색 순위를 정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이 등록된 정보 설정을 통해서 검색 순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게임명

간단 설명

자세한 설명

마켓 리뷰

등이 검색 순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키우기'키워드 검색순위 2위인 거지 키우기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게임명 및 게임 상세 설명에도 '키우기'키워드가 노출되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