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2048
- Android인트로
- 국가별앱현황
- 와우2048
- iBatis.Net
- 개인앱홍보
- wow 2048
- 2048 game
- android res 초기화
- 빌드시간단축
- 광고수익화전략
- 게임마케팅
- wow2048.com
- 시스템 프로세스
- 개인앱
- 인트로전체화면
- iBatis.Net for PostgreSQL
- 랭킹2048
- iBatis.Net for MySql
- wow2048
- 카운터 프로그램
- package변경
- iBatis.Net for Oralce
- 패키지명변경
- koltin
- 2048 ranking
- RankingApps
- HTML&CSS
- 앱홍보
- 앱마케팅
- Today
- Total
우짜짜's 코딩스토리
[펌]돈 안 쓰는 마케팅(2) 본문
출처: https://m.blog.naver.com/all_about_game/221654645310 [by 올어바웃게임]
● 타 게임 키워드 분석
● 키워드 적용 후 성과 분석
타 게임 키워드 분석
1. 타 게임 마켓 정보 확인
타 게임에서 어떤 게임명을 사용했고, 어떤 디스크립션을 사용했는지 보면 된다.
왜냐면 결국 마켓에 등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검색 노출이 되기 때문에 이 정보만 잘 파악을 해도 다른 게임의 키워드를 파악할 수 있다.
2. 앱애니/센서타워 활용
1번 방법으로 기본 정보는 파악이 가능하나 세부 정보를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해당 키워드가 얼마나 효과가 좋은지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키워드 분석툴을 사용하면 된다. 돈만 있으면 앱애니 유료, 센서타워 유료를 사용하면 쉽게 파악을 할 수 있다. 하지만 키워드를 보기 위해서 매월 적게는 10만 원의 돈을 쓰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이 두 개의 툴의 무료 기능을 혼용해서 사용하면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앱애니>
- 앱애니는 다른 게임을 쉽게 등록해서 볼 수 있다. 하지만 검색량/난이도는 파악이 불가능하고 키워드 순위 정도만 볼 수 있다. 그리고 게임 기준으로 주요 키워드를 리스트 업해준다.
- 참고로 여기에서 리스트 업해주는 키워드로만 들어온다는 뜻은 아니니 참고를 하면 된다. 그리고 원하는 키워드는 새 키워드 추가가 가능하다. -<왕이되는자>에서는 게임명에는 SRPG라는 키워드가 있었으나, 앱애니 기본 키워드 리스트에는 없어서 'SRPG'라는 키워드를 추가할 수 있다.
이렇게 추가를 하면 해당 키워드의 순위를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앱애니 무료 기능으로는 검색량, 난이도는 확인이 불가능하다.
<센터타워>
센서타워는 여러앱을 볼 수 없다.
대신 키워드들의 검색량 및 난이도를 확인할 수 있다.
단 하나의 국가에서만 키워드를 조회할 수 있다.
여기에서 SRPG라는 키워드를 입력하게 되면 해당 키워드의 검색량(traffic)과 난이도(difficulty)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요약을 하면
앱애니: 키워드별 순위 확인
+
센서타워: 키워드별 검색량 및 난이도
결국 이 두 툴의 무료 기능을 활용하면 모든 키워드의 순위, 검색량, 난이도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키워드를 바탕으로 게임명, 마켓 디스크립션에 넣으면 되는 것이다.
키워드 성과 분석
키워드를 게임명과 마켓 디스크립션에 적용한다고 다 좋은 성과가 나오는 것이 아니다.
새로운 키워드를 넣고, 그 키워드가 효과가 있는지는 실제 적용을 해봐야지 알 수 있다.
구글 개발자 콘솔 => 사용자 획득 => 획득 보고서를 가면 확인할 수 있다.
획득 보고서 중에서 '검색'을 클릭하면 된다.
검색을 하면 키워별 방문자 수 최초 설치자수를 확인할 수 있다.
효율이 좋은 키워드와 효율이 좋지 않은 키워드는 최초 설치 사용자 / 스토어 등록정보 방문자의 비중이 높으면 효율이 좋은 키워드이기 때문에 해당 키워드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배치하면 효과가 좋다.
그리고 주요 키워드 들의 다운로드 전후를 비교하면 얼마나 효과가 좋은지 확인할 수 있다.
'Input > 출시&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앱(App) 개발보다 더 중요한 홍보, 방식에 관하여 (0) | 2020.06.08 |
---|---|
[펌]돈 안쓰는 마케팅(1) (0) | 2020.05.14 |
[펌]"인디개발사, 성공을 꿈꾼다면 숫자와 친해져라" (0) | 2020.05.07 |
[펌]앱 런칭을 방금 마친 당신이 취해야 할 마케팅 전략은? (0) | 2020.03.17 |